카테고리 없음 2016. 1. 24. 21:52

여행 및 관광 분야의 트렌드 분석 역시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나신규 고용 창출 효과가 타 산업군에 비해 현저히 높다.트렌드가 함축하고 있는 부가가치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사회의 한 영역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사하는 작업은 개인이나 일개 기관이 감당하기에 결코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문화체육관광부의 해당 사이트나 관련 학술단체에서 여행 트렌드에 관한 연구나 트렌드 분석 자료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기존의 관광 분야 연구는 현재 한국인의 여행트렌드라는 거시적인 주제보다는 보다 협소한 영역의 관광상품 개발국가별 관광객관광시설관광정책 등에 한정되어 있어현재 한국인의 여행트렌드를 조망하기에는 미흡하다정부기관이나 초대형 여행사에서도 여행 분야의 학술적인 연구나 트렌드 분석에 투자하지 않는 상황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가나 관광 분야 대학원,소규모 여행사 등에서 지금 당장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트렌드 분석을 시도하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 제약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여행도서 콘텐츠라는 문화상품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여행트렌드를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하고자 한다특히 2000년대 이후의 여행도서콘텐츠의 분석은 현재 여행업계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는 물론 관광학계나 유관기관더 나아가 여행을 즐기는 일반 대중에게까지 유의미한 정보와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범위

 

이론적 배경

1. 여행의 개념정의와 여행도서의 특성

1) 여행의 개념

2) 여행도서의 특성

2. 여행도서의 유형분류 현황

1) 국내 도서마켓의 여행도서 분류

2) 국제표준도서번호(ISBN)의 여행도서 분류

3. 여행동기에 관한 기존연구 분석 : TCL 모델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1) 자료선정 및 자료수집

(1) 여행도서 베스트셀러 선정

(2) 여행시리즈 도서 선정

(3) 여행작가들의 추천도서 선정

2) 분석기준 및 분석방법



연구 결과

1. 연도별 여행도서 트렌드 분석

2. 지역에 의한 여행도서 트렌드 분석

1) 세계

2) 유럽

3) 미주

4) 남미/아프리카/오세아니아

5) 아시아

6) 국내

3. 장르에 의한 여행도서 트렌드 분석

1) 가이드북

2) 여행에세이

3) 테마여행

4) 만화/지도

4. TCL 모델에 의한 여행도서 트렌드 분석

1) 저차원의 욕구

2) 고차원의 욕구

 

결론 및 논의

1. 결과의 요약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영문 초록



리디북스 http://goo.gl/2zQhWZ

교보문고 http://goo.gl/Xe5XpA

테마여행신문 출판사 http://www.upaper.net/themetn/1042207

테마여행신문() : https://goo.gl/HO7IMh

posted by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